Ben Fine, "Introduction", Fine ed., The Value Dimension: Marx versus Ricarco and Sraffa, Routledge, 1986, pp.1~3.



배경


1960년대 말 이래 서구 학계는 맑스주의에 더 큰 관심을 보였다. 직전 시기에 벌어졌던 학생 운동에 뒤이어 청년들의 생활양식이 전반적으로 자유화되고 대학과 여타 고등교육 기관, teaching and research post가 확대된 덕분에 새로운 부류의 학문적 맑스주의자들이 생겨났다. 하지만 1970년대 초 자본주의 세계 경제가 불황에 빠져든 상황에서 기존 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전통들은 만족스런 대답을 주지 못했다. 상당히 세련된 맑스주의 이론 저널이 있긴 했지만(가장 두드러졌던 것이 영국에서 발행된 <뉴 레프트 리뷰>였다), 경제 문제에 관한 글(이론 연구든 경험 연구든)은 거의 싣지 않았다. 미국은 하나의 텍스트가 장악했는데, 바란과 스위지의 <독점 자본>이 그 텍스트였다. 돌이켜 보면 더 분명해지는 사실은 이 책에 이론적으로나 경험적으로나 약점이 많다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 관심사와 관련해 가장 중요한 것은 <독점 자본>이 맑스의 가치론을 본질적으로 기각하고 그것을 잠재적 잉여 이론으로 대체한다는 점이다. 이는 유효수요 부족(과소소비)이 현대 자본주의의 근본 모순 역할을 한다는 것에 바란과 스위지가 명시적으로 의존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가치론 자체가(노동시간에 기반을 둔 가치론은 말할 것도 없고) 불필요한 것이다. 이런 사정 탓에 새로운 정치경제학자 세대는 분석력을 키울 여지가 거의 없었다.


영국에선 자본 이론에 대한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경제학자들의 비판이 정통 신고전파 경제학에 큰 도전을 제기했다고 이해되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이 비판은 신고전파의 1부문 성장 이론과 분배 이론을 공격했고 또 피에로 스라파의 저작(1960)에 얼마간 암시적으로 제시된 것처럼 신고전파 이론 전체에 공격을 가했다. 케임브리지 경제학자들의 비판은 하나의 가격·분배 이론(임금-이윤 관계)을 구축했는데, 이 이론은 ‘생산 조건들’(투입-산출 계수)에만 의거하고 수요(효용으로 표현되는 선호)는 고려하지 않았다.


주어진 생산 조건에서 가격/이윤 결정에 대한 이 해결책이 애초에 의도한 바는 정통 신고전파를 비판할 기반을 닦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해결책이 실제로 그런 기반을 구축했다는 것이 입증되었으며, 나아가 그것은 포스트케인스주의 학파—정통파와 대조적으로 총거시관계, 독점화, 계급 기반 분배 투쟁, 현대 경제의 여타 상식적 현실을 강조하는—내에서 더 긍정적인 대안을 마련하기도 했다. 그런데 케임브리지 경제학자들의 비판이 제시한 가격/이윤 결정은 또한 맑스 가치론에 대한 공격을 개시하는 기반이라는 사실도 입증되었다. 전형 문제에 대한 설명이 그 역할을 했고, 이 설명은 전형 문제를 올바르게 해결했다고 간주되었다. 케임브리지 비판의 창설자들(스라파를 제외한)이 맑스주의에 특별히 전념한 적이 없고, 조앤 로빈슨이라는 개인(그 비판과 그것의 대중화를 가장 밀접하게 연결시킨)이 언제나 맑스 가치론과 그 이론에서 파생된 명제들을 비판해 왔다는 것은 놀라운 사실이 아니다.


그 사이 맑스주의 정치경제학은 깃발을 날렸고, 특히 모리스 돕과 로널트 미크가 그랬다. 돕은 학술 논문들에서 노동가치론이 자본주의 착취에 대한 사회학(부르주아 후생경제학과 반대되는)의 도구이자 자본주의 운동 법칙을 밝혀내는 수단(신고전파/케인스주의 경제학의 지배적 조류와 반대되는) 역할을 매우 훌륭히 수행했다고 주장했다. 이런 돕의 주장은 우선 자기 노동의 산물을 온전히 획득하는 노동자들의 ‘자연권’으로, 리카도적 사회주의자들의 기반이었던 하나의 도덕으로 회귀하는 것이었다.


둘째, 돕의 관점은 (노동이 투하된) 한 상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노동 시간에 기반을 둔 바로 그 노동가치론이 존재하고 있음을 함의했다. 그렇게 되면 리카도와 맑스의 노동가치론이 똑같은 것이 된다. 실제로 돕은 리카도-맑스 노동가치론을 언급하는데, 뒤에서 보겠지만 그 가치론은 최근 문헌들을 고려하면 이제는 불가능한 어떤 것이다. 이렇게 돕은 노동가치론을 하나의 분석 도구로 삼았는데, 그 도구는 어떤 목적에는 유용하지만(이 경우 그것은 리카도와 맑스를 구분할 것이다) 원칙상 다른 목적에는 유용하지 않을 것이다.
이후에, 특히 전형 문제라는 맥락 속에서, 여러 사람이 노동가치론은 사실상 잘해야 무용한 오류였다고 논의했다. ~~~~





Posted by thehole
: